동감프로젝트/구조반영

img_1326580_1361471_0

기둥이 들어설 기준선.
(차도와 인도의 경계선, 인도와 각각필지의 경계선 등을 조금씩 셋백함.)

img_1326580_1361471_13

“뜬 벽”

img_1326580_1361471_1

구조 기준선과 “뜬 벽”의 자취와의 교점 및 보행공간 확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추가된 포인트들에 기둥을 심는다.
(자세히 보면 작고 붉은 점이 있다.다이어그램이 후져서 잘 안 보임.)
지름 0.6m의 스틸 파이프. 스팬은 짧게는 4m, 길게는 10m … (물론 잠정적으로)

img_1326580_1361471_9

종이장으로 표현되었던 “뜬 벽”에 두께(1m)를 반영함.
스틸 파이프 따위로 공간 프레임을 짜는 것으로 생각.

img_1326580_1361471_8

두께를 반영하였을 뿐인데 인상이 많이 달라보여서 조금 당황함.

..

그리고, 뜬 벽의 뜬 높이를 3.5m 에서 4.5m 로 조정함.
(데이터 북에서 확인한 8t 소방차 통과 높이 4m)

img_1326580_1361471_4

보행자 시점에서는 훨씬 더 달라 보이더라.

처음엔 “뜬 벽”의 일부가 고스란히 내려오는 벽식 구조체를 넣어봤는데, 너무 답답해 보였다.
원기둥으로 처리하니 그나마 훨씬 나아보인다.

img_1326580_1361471_6

“뜬 벽”의 윤곽을 따라 늘어선 원기둥들이 “둘러싸인 영역감”을 돋보이게 하는 효과가 생기는 것을 확인. 당연한 일이겠지만.

img_1326580_1361471_14

img_1326580_1361471_2

img_1326580_1361471_10

img_1326580_1361471_11

기둥이 생략되었을 때를 가정한 깔끔한 인상의 렌더링들과는 다소 다른 느낌이다.

다만 분명한 것은, 기둥들로 인해,
방 한가운데의 느껴지는 시원스러움과,
방 가장자리, 또는 방과 방 사이 공간의 다소 복잡한 듯한 느낌이
서로 대조되는 효과가 확실해진다는 것이다.

기대하지 못했던 효과.

img_1326580_1361471_7

LG 패션몰 방면으로부터의 진입.

img_1326580_1361471_3

모델링 툴 (스케치업) 이 후져서 원이 원이 아니라 24각형 따위로 표현되는데,
오히려 이 편이 실제에 가까울 것이다.

img_1326580_1361471_15

자동차 운전자 시점…

차로 경계선을 따라 열주처럼 늘어선 기둥들이 차로의 영역을 좀 더 확실하게 인지하게 해주는 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운전자의 눈에는 뜬 벽으로 인해 다소 혼란스러울 수도 있는 공간이 기둥들로 인해 정리되어 보이는 모습이다.

img_1326580_1361471_12

img_1326580_1361471_5



벽의 두께와 구조체 등 현실적인 조건을 반영하여도 원하는 상황이 크게 훼손되지 않음을,
오히려 원하는 개념이 강하게 구현되는 측면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뜬 벽의 조형과 구조에 대해서는 좀 더 많은 스터디를 해야 하겠지만,
지금으로서는 일단 이 정도에서 정리하고,

다음에는

뜬 벽에 적용될 수 있는 재료 및 미디어의 종류, 그리고,
“뜬 벽이라는 미디어”와 “뜬 벽으로 규정되는 방” 사이의 긴장과 상호작용(interaction) 에 대해서 탐구하기로 하자.

이 곳에 포스팅에 대한 감상이나 의문을 남겨주시면 성의껏 답변드리겠습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