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용산신사옥5

첫인상을 심어주는 중요한 공간이긴 하지만, 그래도 건물 전체의 일부분일 뿐인데 볼거리와 고민하게 하는 장면들이 참 많기도 많더라고요. 멀리온과 바닥 돌 나뉨의 선을 맞추는 것은 사실 설계를 하면서는 기본이라 생각하는 것이고, 건물 관찰하면서 습관적으로 사진을 찍게되는 장면인데…

멀리온과 바닥 돌나뉨의 선을 맞춘다면, 당연히 유리난간의 나뉨과도 맞춰야 할텐데요. 무심코 넘어갔던 장면입니다만. 나중에 건설 진행에 관련되었던 분의 이야기를 듣고 보니, 쉬운 일이 아니었더라구요.

아트리움으로 올라가기 전, 지하 식당가에서 찍은 사진인데,

에스컬레이터 하부, 기둥과 기둥의 사이 같은 애매한 공간에 플랜트박스를 설치하는데, 별도의 화분 등을 가져다 놓지 않고, 이런 상황, 이런 아이템까지 건축설계의 영역으로 끌어들어와 전반적인 디자인의 톤에 맞추는 모습도 인상적이었고요.

1층에서 바깥으로 나오면, 널리 알려진대로 건물 외벽면 경계를 따라서 회랑이 조성되어 있는데요.

자전거 거치대 같은 아이템도 기능과 상황과 건물 전체의 디자인 톤에 호응하여 맞춤으로 디자인했더라고요. 정사각형과 정육면체 윤곽의 비례는 당연히 건물 전체, 그리고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로비 공간의 윤곽을 염두에 둔 것이었겠지요. 두툼하고 묵직한 철의 물질감 또한 노출콘크리트와 통하는 느낌입니다. 기능적으로도 모자람이 없어 보입니다.

회랑을 따라 느릿느릿 걸어다니면서 때로는 바깥으로 나와서 바깥 모습을 찍었는데, 때로는 섬세하고 부드러운 패브릭 같은 이미지로 읽히기도 하고,

위치와 시점에 따라서는 차갑고 추상적인 기계덩어리 같은 이미지로 읽히기도 하더라고요.

세로 방향으로는 얼핏 대나무처럼도 보이고, 단면으로는 비행기 날개를 연상케하는 굵직굵직한 루버가, 가로방향으로는 점검통로와 루버 지지를 겸한 가로 루버가 놓여있는데요. 오피스건물에서의 근무 경험을 돌아보면, 이미지 연출을 위한 사치 만은 아닐 거라 짐작합니다. 커다란 통유리를 통해 햇볕(직접광이든 간접광이든)이 들어와서 모니터 읽기가 힘들어지는 일이 제법 있었거든요.

물론 건물의 경계를 두툼하게 만들어서 다소 부드럽고 폭신해 보이게 하는 역할이 큽니다. 유리와 금속패널로 명쾌하고 폐쇄적인 경계를 만든 주변의 옛 오피스건물과 좋은 대비를 보여주고 있네요. ‘의성어 의태어 건축’으로 대표되는 켄고구마 선생님의 문제의식과도 통하는 이야기겠지요. 문화적 배경은 달라도 현대 건축의 한계와 문제에 대한 진단은 고만고만하게 공유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지지대 겸 점검통로 역할을 하는 가로방향의 루버가 굵직굵직한 세로방향의 루버에 섬세한 그림자를 드리우면서, 기대하지 않았던 효과가 연출되기도 하고요.

가로방향의 루버에 세로방향 루버의 그림자가 드리워질 때도 역시 기대 이상의 효과가 연출되고,

그림자가 회랑에 드리워질 때는 회랑의 경계가 놀랄 정도로 풍요로와지기도 하고,

회랑바닥과 열주에 섬세한 그림자 패턴이 생기는 것을 정신없이 바라보다 문득, 건물 안 사무실의 풍경은 얼마나 근사할지 상상하게 되더라고요.


다음 포스팅에서 계속됩니다.

 

1 Comment

이 곳에 포스팅에 대한 감상이나 의문을 남겨주시면 성의껏 답변드리겠습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